티스토리 뷰

728x90
SMALL

자동차세 계산기 납부 방법 기간 세액 산출


6월은 자동차세 1기분 납부의 달입니다. 어느새 우편함에 자동차세를 납부하라는 고지서가 날라오는데요.​

오늘은 간단히 자동차세 계산 방법과 남부 방법, 기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세 계산 방법 (feat. 계산기)
자동차세 계산 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먼저 알아야 할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자동차를 언제 구입했는지
위 사실을 알아야 하는 이유는 구입 기간에 따라 자동차세 할인이 적용됩니다.​

자동차를 구입한지 1, 2년 차에는 할인율이 없으며 3년이 되는 해부터 내년 5%씩 감면이 됩니다. 하지만 오래 갖고 있다고 영원히 할인되지는 않습니다. 최대 50%까지 할인율이 적용되며 이는 햇수로 13년 차입니다.​

② 영업용 / 비영업용 인지
영업용과 비 영업용에 따라 cc 당 세액과 과세 표준이 달라집니다.

③ 내 자동차의 cc 가 얼마인지
cc에 따라서 매겨지는 세액이 달라집니다. 배기량이 커질수록 세액도 늘어나기 때문에 잘 확인하셔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승용차용 차는 배기량을 기준으로 세금을 매기며, 그 외의 자동차는 정액으로 세율을 매깁니다.​

하지만 우리가 소득세율을 매기는 것과는 조금 다릅니다. 소득세율 적용과 같다면 내가 1900cc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을 경우 1600cc까지는 18원, 그 이후로는 19원을 책정했을 겁니다.​

하지만 자동차세는 내가 현재 가지고 있는 cc에 그냥 세액을 곱하면 됩니다. 그래서 1900cc인 경우는 1900cc x 19원을 하면 됩니다.​

그 외 나머지 종류의 차는 정액으로 납부하게 됩니다. 그에 따른 세금을 아래에 청부해 드리겠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직접 계산하는 방법이 있고, 아니면 Wetax 사이트를 통한 자동차세 계산기를 통해 확인해 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위 사이트를 들어가 보시면 위에서 언급했던 대로 내 차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란이 나옵니다. 클릭 몇 번으로 입력하고 세액 계산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감면액과 더불에 1년에 내야 할 세액이 바로 계산됩니다.​

일반적으로는 1년에 2번의 세금을 납부해야 하지만, 자동차세 연납신청을 하거나 1년에 10만 원이 넘지 않는 세금을 납부해야 하는 경우 1기분에 한꺼번에 청구가 되게 됩니다.​

경차에 연식이 조금 된 경우에는 1년에 내야 할 세금이 10만 원이 채 안 되므로 1기분에 한꺼번에 합산하여 청구서가 날아옵니다.​

자동차세 납부 방법

자동차세의 납부 방법은 크게 4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각각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ARS 납부 방법
가장 고전적인 방법입니다. ARS를 이용하여 고지서에 적혀있는 전화번호로 전화하여 납부하시면 됩니다. 신용카드와 휴대폰 소액결제를 아용하여 납부할 수 있습니다.​

② 가상 계좌 납부
제가 가장 좋아하는 방법입니다. 제 이름으로 된 가상 계좌가 이미 신설되어 있고, 고지서에 적혀진 계좌로 돈을 입금하면 끝납니다.​

주의할 점은 가상 계좌 입력 후 확인 시 내 이름이 적혀있는지 확인해야 한다는 점이며, 집에서도 휴대폰 하나도 아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③ 인터넷 납부
아마 연납을 하신다면 위 방법대로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위택스와 인터넷지로 홈페이지에서 납부를 하시면 됩니다.​

④ ATM 기기 이용
모바일이나 인터넷뱅킹을 전혀 이용하지 않으신 다면, 은행에 있는 ATM 기기를 이용하여 세금을 납부할 수 있습니다.​

전국은행에서 가능하며 자동차세뿐만 아니라 지방세도 가능하니, 집 앞에 은행이 있다면 이용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자동차세 납부 기간

자동차세는 총 2회 납부가 원칙입니다.

① 1기분
과세기간은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이며 납기는 6월 16일부터 30일까지입니다.

② 2기분
과세기간은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이며 납기는 12월 16일부터 31일까지입니다.

자동차세 정리

① 높은 배기량을 갖고 있는 자동차라면 연납을 하시는 게 좋습니다. 할인율 폭이 적어졌지만, 한 번에 납부하시는 게 편리하고 또 돈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② 납부 기한을 넘기게 되면 1달의 시간을 더 주게 되는데, 이때 가산급이 부여가 됩니다. 낼 만큼 만 내면 되는데 더 내면 억울하겠죠.​

③ 자동이체 방식을 활용하셔도 좋습니다. 세금이 공제 되는 혜택까지 받아보세요.

728x90
반응형
LIST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