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디노라N잡

흥국화재 저 PBR 관련주

디노n잡 2024. 2. 19. 16:03
728x90
SMALL

저 PBR 뜻 관련주 벨류업 의미


1. 저 PBR 이 뜨고 있다?
2. 저 PBR 의미
3. 사례로 학인
4. 저 PBR 관련주 정리

1. 저 PBR이 뜨고 있다?

요즘 증권사의 뉴스를 보면 "저 PBR"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름은 아닐 테고, 낮은 PBR을 가지고 있는 주식의 순 매수가 늘었다고 합니다.​

해당 내용을 검색해 보면 흥국화재가 이날 저 PBR 주로 분류되면서 지속적으로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1월 2,800원 대를 유지하면 흥국화재의 주가는 장중 6,600까지 올라가면서 상한가의 상한가를 기록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개미들의 마음을 홀리고 있는 저 BPR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이 지수만 보고 기업 전체를 파악하며, 투자할 만한 대상을 찾을 수 있을까요. 뜻과 투자 관점에서는 어떤 의미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저 PBR의 의미

우선 이 종목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해당 용어를 먼저 이해하여야 합니다. 해당 지수는 이번에 새롭게 나온 개념은 아니고 원래 회사를 평가할 때 있었던 개념으로 가치를 중심으로 투자하는 투자자들에게는 익숙한 용어입니다.​

주식용어를 이해할 때는 직관적으로 이해하여야 합니다. 즉, PBR이라는 수치를 보고 " 아 이 기업은 이렇구나~"를 단번에 이해하는 것이 올바른 학습법입니다. 그래서 개념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례를 같이 이해하면 더욱 좋습니다.​

먼저 PBR 이란 사전적 의미로 주가순자산비율을 의미합니다. 현재 자산과 순자산의 비율을 나타낸 값입니다. 그래서 전체 시가총액에서 순자산 값을 나눈 것이 됩니다.

시가총액은 전제 주식 수 x 주가를 나타냅니다. 순수히 주식시장에서 그 기업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하는 값입니다. (반영은 되어있겠지만) 시가총액이 높다고 해서 영업이익이 높다는 것도 아니고, 낮다고 해서 안 좋지도 아닙니다. 다만 현 시점에서 투자자들이 이를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서 충분히 달라질 수 있는 값입니다.​

순자산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을 의미합니다. 즉 이 값은 이 기업이 가지고 있는 힘을 의미할 수도 있고 안정적인 지표로도 활용될 수 있는 값입니다.​

이 두 지표를 가지고 만든 것이 PBR이라는 지표이며 이를 통해서 해당 주식의 저평가 여부를 대략적으로 유추해 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저 PBR이라고 이야기하는 1 미만의 기업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일까요.

PBR이 1보다 작다는 것은 시가총액보다 가지고 있는 자기자본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에 무슨 일이 생겨 청산 당해도 부채를 모두 갚고, 남은 자산을 주주들끼리 나눠도 현 주가보다 더 많은 자금을 확보할 수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불가능한 일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국내에서 PBR이 낮다는 것은 반드시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코스피는 정말 투자하기 어려운 종목 중 하나입니다. 그중 몇 가지 이유는 기업의 가치대로 주가가 흘러가지 않기 때문입니다.​

국내는 미국과 달리 주주환원 정책을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배당을 주는 기업이 그리 많지 않고, 배당을 주더라도 고배당을 주는 곳은 많지 않습니다.​

또한 상속, 증여의 세금 문제로 인해 주주들의 자사주 매매을 꺼려 하다 보니 이러한 영향이 낮은 PBR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후진적인 구조가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가 많이 반영되었고 낮은 PBR이라는 수치가 나쁜 의미는 아니기에 각광받고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3. 사례로 확인

이번에 해당 이슈로 수혜를 받은 흥국화재에 주가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지난 3개월간 2,000원 대에서 주가가 지지부진하던 게 2월부터 큰 폭으로 상승하더니 최고 6,600원까지 주가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네이버 증권에서 확인해 보니 PBR이 0.26배로 매우 낮았습니다. 주로 은행, 보험 관련 기업이 낮은 수준인데,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습니다.

정부가 주도적으로 '코리안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기업 벨류업 프로젝트라는 이름을 걸고 저평가된 기업들의 주가를 올려보겠다는 목적으로 많은 기업들이 수혜를 받았지만, 무엇보다도 기업의 펀더멘탈을 보고 투자해야 하는 원칙은 바뀌지 않았음을 명시해야 합니다.​

흥국화재의 실적을 보면 안정적인 매출과 영업이익을 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주식 투자에 있어 첫 번째도 두 번째도 기업입니다.

안정적인 실적과 영업이익이 있어야 하며 뚜렷한 성장 동력이 있어야 투자를 하였을 때 많은 이익을 남 길 수 있습니다.​

단순히 PBR 이란 숫자의 함정에 빠져 투자를 벌이는 일은 없어야 하며, 올바른 지식과 원칙을 가지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4. 저 PBR 관련주 정리

① 저 PBR 주는 저평가된 기업으로 주로 은행과 보험, 자동차 관련된 주식이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주식들은 안정적인 영업이익을 내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다면 투자할 만한 가치는 있다고 봅니다.​

② 다만, 저 숫자를 단순히 비교하여 투자하는 것은 옳지 않은 선택이라고 생각됩니다.

③ 현재 기업이 주주환원 정책 기조로 바뀌려면 인식부터 바꿔서야 하며 쉽지 않은 여정이 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