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SMALL

바드 업데이트 40개 언어로 '듣기 기능' 및 이미지 입력 추가

구글이 인공지능(AI) 챗봇 '바드'의 업데이트를 실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바드가 40개 이상의 언어로 대답하거나 텍스트와 더불어 이미지 입력을 읽어내는 등 멀티모달 기능을 도입했습니다.

 

 

 

로이터 등은 13일(현지시간) 구글이 블로그 게시물을 통해 아랍어, 중국어, 독일어, 힌디어, 스페인어를 포함한 40개 이상의 언어로 바드를 서비스하고 이미지 입력 기능을 도입하는 등 업데이트를 실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최현정 구글 바드 디렉터도 13일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인공지능위크 2023'에서 같은 내용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지난 5월10일 구글 연례 개발자 회의(I/O)에서 바드를 정식 공개한 이후 2개월 만입니다. 당시 구글은 바드의 대기자 명단을 없애고 본격 서비스를 시작한다며, 영어 이외에 가장 먼저 한국어와 일본어를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멀티 모달 기능도 조만간 도입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잭 크로치크 구글 수석 제품 이사는 블로그 게시물에서 "때때로 큰 소리로 무언가를 들으면 다른 방식으로 아이디어에 접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바드는 단어의 정확한 발음을 듣고 싶거나 시나 대본을 듣고 싶을 때 특히 유용하다"며 '응답 듣기' 기능을 소개했습니다.

 

구글 바드 언어 40개 포함

여기에 바로 40개 언어가 포함됩니다. 사용자가 바드의 반응의 어조와 스타일을 간단하고, 길고, 짧고, 전문적이거나 캐주얼하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현재 영어로만 가능하며, 추후 다른 언어로 확장할 예정입니다. 또 바드와의 대화를 이어가기 위한 '대화 고정' 기능을 추가했으며, 생성한 코드를 많은 곳으로 내보내거나 대화 내용을 다른 곳에 공유하는 기능도 추가했습니다. 눈에 띄는 기능은 프롬프트에 이미지를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I/O에서 예고한 '구글 렌즈' 기능을 본격 도입, 프롬프트와 함께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 기능은 현재 영어로만 제공하며, 곧 새로운 언어로 확장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발표에서 해외 매체들의 관심을 끈 것은 유럽에서의 출시 여부와 저작권 문제였습니다. 구글은 지난달 중 유럽에서 바드 서비스를 시작하려고 했으나, 유럽의 규제 당국에 데이터보호 영향평가 등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지 않아 자동으로 출시가 연기됐습니다. 이에 대해 크로치크 이사는 유럽 측과 만나 투명성, 선택 및 통제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안심시켰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아마르 수브라만야 바드 엔지니어링 부사장은 브리핑을 통해 "사용자가 데이터 수집을 거부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는 EU가 추진 중인 AI 법 문제에서 가장 민감한 훈련 데이터의 저작권과 연결된 문제입니다. 또 구글은 최근 이 문제로 로펌으로부터 집단 소송을 당한 바 있습니다. 수브라만야 부사장은 "바드는 실험 단계"라며 "우리는 대담하지만 동시에 책임감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